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9

EPS란? 주당순이익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 정리 주식을 처음 접하면 가장 많이 듣는 용어 중 하나가 바로 EPS입니다. 투자에 앞서 기업의 가치를 판단할 때 매우 중요한 지표로, 주가의 움직임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 글에서는 EPS의 개념부터 계산 방법, 그리고 투자자 관점에서의 해석까지 쉽고 자세하게 알려드릴게요.EPS란 무엇인가요?EPS는 'Earnings Per Share'의 약자로, 우리말로는 주당순이익이라고 합니다. 한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을 그 회사의 전체 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 쉽게 말해, 주주 한 명이 가진 주식 한 주가 1년 동안 얼마나 이익을 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죠. EPS가 높다는 건 그만큼 기업이 이익을 많이 냈다는 뜻이며, 회사의 수익성이 좋다는 것을 의미합니다.EPS는 어떻게 계산하나요?EPS의 계산 공식은 다음과.. 2025. 5. 24.
ROE와 ROA 차이점 – 수익률 지표를 제대로 보는 법 바쁜 직장인이나 투자 초보자들도 기업의 재무 상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두 가지 주요 수익성 지표가 있습니다. 바로 ROE와 ROA입니다. 이 두 지표는 기업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자본과 자산을 활용하여 이익을 창출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아래에서 각각의 정의, 계산식, 그리고 기업 실적 해석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ROE와 ROA의 정의ROE (Return on Equity)는 '자기자본이익률'로, 기업이 주주로부터 받은 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순이익을 창출했는지를 나타냅니다. 이는 주주 입장에서 기업의 수익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ROA (Return on Assets)는 '총자산이익률'로, 기업이 보유한 전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순이익을 창출했는지를 보여줍니다.. 2025. 5. 23.
PER이란? 주가수익비율로 보는 저평가 vs 고평가 기준 PER은 주식 투자에서 자주 언급되는 지표로, 기업의 가치를 판단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특히 주식이 저평가됐는지 고평가됐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기준으로 많이 사용되죠. 이 글에서는 PER의 의미와 계산법, 그리고 실제 투자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PER이란? 주가의 가치를 보는 눈PER은 ‘Price to Earnings Ratio’의 약자로, 우리말로는 ‘주가수익비율’이라고 합니다. 말 그대로 기업의 주가가 이익에 비해 얼마나 높은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PER이 10이라면 현재 주가는 해당 기업이 1년 동안 벌어들이는 순이익의 10배라는 뜻이에요. 주가가 수익에 비해 너무 높거나 낮은지를 파악하는 데 이 지표가 큰 역할을 합니다.PER 계산법과 쉽게 이해하.. 2025. 5. 23.
복리의 마법, 돈이 돈을 버는 진짜 이유 복리는 단순한 이자 계산을 넘어서, 시간이 지날수록 그 힘이 폭발적으로 커지는 경제의 비밀 병기입니다. 투자든 저축이든 복리를 이해하면 자산을 키우는 방식이 달라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복리의 개념, 사례, 활용법, 그리고 실전 팁까지 알아보겠습니다.복리란 무엇인가요?복리란 이자가 원금에만 붙는 것이 아니라, 이자에도 다시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연 5%의 이율로 100만 원을 예금하면 1년 뒤에는 105만 원이 되고, 2년 뒤에는 이 105만 원에 다시 5%의 이자가 붙어 110만 2500원이 됩니다. 이렇게 시간이 지날수록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구조가 바로 복리의 핵심입니다.단리와 복리의 차이는 시간이 갈수록 극명해집니다. 장기 투자에 복리가 강력한 이유는 바로 이 점 때문입니다.복리의 마.. 2025. 5. 19.
LTV, DTI, DSR 차이점 완벽 정리! 대출 규제 핵심 포인트 총정리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때 자주 듣는 용어인 LTV, DTI, DSR은 대출 한도와 직결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 세 가지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면, 대출 계획을 세우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각 용어의 정의, 사례, 활용 방법, 그리고 실전 팁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LTV: 담보가치 대비 대출 비율LTV는 'Loan To Value'의 약자로, 담보물의 가치 대비 대출 가능한 금액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5억 원짜리 주택을 구입할 때 LTV가 70%라면, 최대 3억 5천만 원까지 대출이 가능합니다. LTV는 주택의 담보가치를 기준으로 대출 한도를 설정하므로, 주택 가격 변동에 따라 대출 가능 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지역별로 LTV 비율이 다르게 적용되며, 규제지역에서는 더 .. 2025. 5. 19.
PBR이란? 자산 대비 주가를 판단하는 핵심 투자 지표 PBR은 기업의 주가가 자산에 비해 어느 정도 수준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지표입니다. 투자자들이 기업의 내재가치와 시장가치를 비교할 때 많이 사용하는 기준으로, 이 글에서는 PBR의 개념, 사례, 활용법, 그리고 실전에서 유용한 팁까지 알아보겠습니다.PBR이란 무엇인가요?PBR은 ‘Price to Book Ratio’의 줄임말로, 우리말로는 ‘주가순자산비율’이라고 합니다. 쉽게 말해, 기업의 순자산 1원당 시장에서 주가가 얼마인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BR이 1이면 기업의 시장가치와 장부상 자산가치가 같다는 뜻이고, 1보다 낮으면 시장에서 저평가됐을 가능성이 있습니다.PBR은 자산 중심의 전통적인 제조업, 금융업 등에서 가치 투자의 기준으로 자주 사용됩니다. 다만 IT나 바이오처럼 무형자산이 .. 2025. 5. 19.